[Python] :: 불(Bool) 자료형 / 조건문 - if, if - else, elif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불(Bool, Boolean) 자료형 조합에 따라 수많은 값을 가질 수 있는 숫자형, 문자열과는 달리 불 자료형은 True와 False의 2가지 값만 가질 수 있다. 불 자료형의 변수에 값을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렇게 쓰는 경우는 대부분 흔치 않고 보통 비교 연산자의 결과 값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연산자 설명 ==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 다르면 True, 같으면 False a b a가 b보다 크면 True, 작으면 False a = b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작으면 False 불 자료형의 연산 불 자료형은 논리 연산자 not, and, or의 적용이..
[Python] :: 데이터 입력 받기 - input( ) 함수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input( ) 함수 실무에서 프로그램을 만들 때는 명령 프롬프트에 글자를 입력하고 그 입력을 읽어 활용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프로그램을 공부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는 것이 좋다. 파이썬에서 입력을 받으려면 input( ) 함수를 사용한다. input("당신의 이름은?> ") 위 코드를 실행시키면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커서가 깜빡이며 프로그램의 실행이 일시중지된다. input( )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받은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고 이를 print( ) 함수를 통해 확인해보자. a = input("당신의 이름은?> ") print(a) 이렇게 input( ) 함수를 통해 입력받은 값이 변수 a에 올바르게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
[Python] :: 자료형 - 숫자(종류, 연산자, 타입캐스팅)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숫자의 종류 소수점이 있는 숫자는 실수형(=부동 소수점)이라 하고 없는 숫자는 정수형이라 한다. 주의할 점은 0과 0.0은 같은 0이라 한들 각각 정수형의 타입과 실수형의 타입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숫자의 타입은 type( )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숫자 연산자의 종류 파이썬의 숫자 연산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거의 동일하다. 그 목록을 아래 표에서 보였다. 연산자 기호 기능 예제 + 덧셈 3 + 4 - 뺄셈 5 - 2 * 곱셈 2 * 2 ** 제곱 3 ** 3 (결과 : 27) / 나눗셈(몫 : 실수 형태 가능) 3 / 2 (결과 : 1.5) // 나눗셈(몫 : 소숫점은 삭제) 3 // 2 (결과 : 1) % 나머지 3 % 2 += 덧셈 후 대입 a += 3 -= 뺄셈 후 대입 a ..
[Python] :: 자료형 - 문자열(string), 이스케이프 문자, 문자열 연산자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서 만들 수 있다. 아래의 것들은 모두 문자열에 해당한다. print("Hello Python!") print('Hello Python!') 보면 알다시피 큰따옴표로 시작한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끝나야 하고 작은따옴표로 시작한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끝나야 한다. 그렇다면 굳이 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구분지어 사용하는지 궁금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print(""Hello!"Python") 코드 블럭에서도 보이듯 Hello!는 문자열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본 코드의 작성 의도는 "Hello!"Python을 출력하는 것인데 큰따옴표의 범위 내에 Hello!..
[Python] :: 파이썬 기초 용어 정리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표현식(expression), 문장(statement), 프로그램(program) 표현식이란 어떠한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를 말한다. 여기서 값이라 함은 아래와 같이 숫자, 수식, 문자열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123 10 * 20 * 30 "Hello Python!" 위의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이면 문장이 된다. 즉, 문장이란 코드 한 줄이라고 보면 된다. print("Python Programming") 문장이 여러개 모이면 프로그램이 된다. 정리하자면 표현식이 모여 문장이, 문장이 모여 프로그램이 되는 것이다. a = input() print("The input value is ", a) ◎ 키워드(keyword) 키워드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 파이썬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