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7.12] :: 학습노트 - Python[swapcase(), print(f"..."), print(r"..."), replace(), [::], zip()]
·
Today's Learning
◎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코드업 파이썬 기본 문제인 6000번대를 모두 끝내고 프로그래머스로 넘어온 첫날이다. 난이도가 낮은 Lv.0 문제를 풀어보고 다른 사람의 풀이도 확인하였는데 간단한 문제라도 러닝 타임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이썬에는 문제를 푸는 데에 있어 유용한 함수들이 정말 많이 존재하는 것 같다. 1) swapcase() swapcase() 함수는 영어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경해주는 함수이다. 입력한 문자열의 소문자는 대문자로, 대문자는 소문자로 출력하는 문제에서 접하게 되었다. 이 함수를 사용하지 않았던 내 코드는 다음과 같다. str = input() for i in range(len(str)): if str[i].islower(): prin..
[Python] :: 예외 처리 - syntax error, runtime error(exception), 조건문 예외 처리, try 구문 예외 처리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파이썬에서의 오류(error) 파이썬을 비롯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오류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문 오류(syntax error) : 프로그램 실행 전에 발생하는 오류 런타임 오류(runtime error) 또는 예외(exception) :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 1) 구문 오류 구문 오류란 문법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말한다. 괄호의 개수, 들여쓰기, 따옴표의 개수 불일치 등으로 인해 프로그램이 실행되기도 전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 따옴표 개수 불일치 print("Hello) 2) 런타임 오류 or 예외 런타임 오류 또는 예외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선언되지 않은 변수의 사용이나 리스트의 범위를 벗어난 인덱스에 접근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
[Python] :: 파일 처리(파일 입출력) - open(), close(), read(), write(), with 키워드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파일 처리(파일 입출력) 파이썬에는 파일과 관련된 처리를 하는 표준 함수들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제공되는 함수는 아래 표를 통해 나타내었다. 아래 표의 내용을 하나 open( ) 파일 열기 close( ) 파일 닫기 read( ) 파일 내용 읽기 readline( ) 파일 내용 한 줄씩 읽기 readlines( ) 파일 내용 전체를 한 줄씩 읽어 리스트 형태로 읽기 wrtie( ) 파일에 내용 쓰기 writelines( ) 리스트 내용을 파일에 쓰기 seek( ) 파일의 커서를 해당 위치로 옮기기 tell( ) 현재 커서의 위치 가져오기 with 키워드 파일 자동으로 닫기 1) open( ) 파일을 다루기 위해선 먼저 파일을 여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함수가 open()이다. 기본 형태는 ..
[Python] :: 튜플(tuple), 람다(lambda)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튜플(tuple) 튜플이란 리스트와 비슷한 자료형이지만 한 가지 중요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미 할당된 값의 수정이나 추가, 삭제가 가능한 리스트와는 달리 튜플은 모두 불가능하다. 튜플은 보통 함수와 사용된다. 그 형태는 아래와 같다. (데이터, 데이터, ..., 데이터) 1) 튜플의 생성 및 출력 # 튜플 생성 test_tuple = (1, 2, 3, 4, 5) # 튜플 출력 # 출력 1 print("test_tuple:", test_tuple) # 출력 2 for i in test_tuple: print(i) # 출력 3 for i in range(len(test_tuple)): print("test_tuple[{}]: {}".format(i, test_tuple[i])) 기본 형태의 튜플을 생성해..
[Python] :: 함수, 매개변수(가변 매개변수, 기본 매개변수, 키워드 매개변수), 함수 호출 형태, 리턴(return)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함수 1) 함수란 함수란 식별자 뒤에 괄호가 붙은 형태로, '코드의 집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함수의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def (): def print_hello(n): for i in range(n): print("Hello !!!") print_hello(3)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를 호출한다'고 표현하고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을 '매개변수'라고 표현하며 함수의 최종 반환 값을 '리턴값'이라고 한다. 위 코드는 print_hello() 함수를 호출하고 있고 매개변수 n에는 정수 3이 전달되어 총 3번의 출력을 진행하고 있다. 2) 매개변수 위 코드의 print_hello() 함수의 매개변수는 n이고 전달된 값은 3이었다고 언급하였다. 이번엔 매개변수가 여러 개인 경우를 살펴보자. ..
[Python] :: 이터러블(Iterable) 및 이터레이터(Iterator)와 제너레이터(Generator)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이터러블(Iterable) 및 이터레이터(Iterator) 1) 이터러블(Iterable) 이터러블이란 순회 가능한 모든 객체, 즉 list, tuple, set, dict, range, str, 문자열, 파일 등을 말한다. 쉽게 생각해서 for 문의 in 키워드 뒤에 올 수 있는 모든 값이라고 보면 된다. 이중 list, tuple, range, str처럼 순서가 존재하는 타입은 시퀀스 타입이라 하고 set, dict처럼 단순 여러개의 요소를 갖는 타입은 컬렉션(컨테이너) 타입이라 한다. 2) 이터레이터(Iterator) 이터레이터는 이터러블의 자식 클래스, 즉 이터레이터==이터러블이다. 그러나 이터레이터는 이터러블과 달리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으로부터 큰 차이가 존재한다. 여기서 상태를 유지한다는 ..
[Python] :: 리스트, 딕셔너리와 관련된 함수 - min(), max(), sum(), reversed(), enumerate(), items() / 리스트 내부 'for문 + 조건문'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min(), max(), sum 이 3개의 함수는 매개변수로 리스트를 갖는 함수로써 각각 리스트 내부의 최솟값, 최댓값, 합계를 반환한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니 아래의 예제를 보고 넘어가도록 하자. ◎ 요소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 reversed() 리스트에서 요소의 순서를 뒤집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함수는 reversed()이다. 이 함수는 반환값이 제너레이터인데 이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다루고 있다. [Python] :: 이터러블(Iterable) 및 이터레이터(Iterator)와 제너레이터(Generator) ◎ 이터러블(Iterable) 및 이터레이터(Iterator) 1) 이터러블(Iterable) 이터러블이란 순회 가능한 모든 객체, 즉 list, tuple, set, dict, range, s..
[Python] :: range(), for 반복문, while 반복문, break, continue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range() 함수 range() 함수는 for 반복문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함수이다. 이는 범위를 뜻하고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해서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함수의 매개변수에는 반복 횟수와 관련된 정수가 들어간다. 매개변수에 숫자를 한 개 넣는 방법 첫째로 매개변수에 숫자를 한 개 넣는 방법이다. 형태는 'range(n)'과 같고 숫자의 범위는 0부터 n-1까지다.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 개 넣는 방법 둘째로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 개 넣는 방법이다. 형태는 'range(n, m)'과 같고 숫자의 범위는 n부터 m-1까지다. 매개변수에 숫자를 세 개 넣는 방법 셋째로 매개변수에 숫자를 세 개 넣는 방법이다. 형태는 'range(n, m, k)'와 같고 숫자의 범위는 n부터 m-1까지로, 매개변수가 두..
[Python] :: 딕셔너리(Dictionary) - 값 추가/제거, in 연산자, get( ), for 반복문에서의 사용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딕셔너리(Dictionary) 파이썬의 또 다른 자료형인 리스트(list)는 값을 저장할 때 인덱스를 기반으로 한다면 딕셔너리(Dictionary)는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한다. 대괄호([ ])로 선언하는 리스트와는 달리 딕셔너리는 중괄호({ })로 선언한다. 딕셔너리를 선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dict = { "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 } 키 값으로는 문자열, 숫자, 불 등으로 선언이 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문자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리스트의 요소에 접근할 때는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딕셔너리의 요소에 접근할 때는 키 값을 사용한다. 딕셔너리 요소 값에는 문자열, 숫자, 불 등의 자료형이 들어갈 수 있다. 리스트와 딕셔너리도..
[Python] :: 리스트 - 연결(+), 반복(*), len( ), append( ), insert( ), extend([ ]), del, pop( ), remove( ), clear( ), in/not in 연산자, for 반복문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리스트(list) C언어에서의 배열이 존재하는 것처럼, 파이썬에서는 리스트가 존재한다. C언어와는 같은 자료형의 값만 저장할 수 있었으나 파이썬에서는 여러 자료형으로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파이썬이 사용성이 좋다고 말하는 이유를 이런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 같다. # 숫자 자료형으로만 구성 list_1 = [1, 2, 3, 4, 5] # 문자열만으로 구성 list_2 = ["H", "E", "L", "L", "O"] # 여러 자료형으로 구성 list_3 = [1, 2, 3, "Hi", "Hello", True, False] 리스트에 들어가는 값들을 요소(element)라 하고 리스트에 각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C언어와 동일하게 인덱스(Index)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파이썬에서는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