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문자열(Strings), 문자열 내에 변수 출력 방법, 여러줄 문자열, 문자열 결합
·
[Programming Language]/[Swift]
1. 문자열 (Strings)  문자열이란 큰따옴표("")로 둘러쌓인 문자의 연속으로 "Hello, Swift!" 같은 것들을 뜻한다. Swift에서는 큰 따옴표만 사용할 수 있고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한다.let str = "Hello Swift!" // 'Hello Swift!'처럼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면 오류 발생 문자열은 String()를 사용해서도 만들 수 있다.let str = String("Hello, Swift!") 1-1. 문자열 결합  Swift도 Python과 동일하게 +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 연산자 역시도 당연히 사용할 수 있다.var str1 = "Hello"var str2 = ", Swift!"print(str1 + str2) // ..
[Swift] assert와 precondition의 차이점
·
[Programming Language]/[Swift]
[머릿말]이제 본격적으로 Swift 공부를 시작하였다. 전체 요약 부분을 보다가 assert와 precondition을 보게 되었다. 이 둘은 조건을 확인해서 조건이 거짓이라면 해당 부분에서 오류 메시지를 띄우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목적 또는 역할이 분명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이 존재하는 것일텐데 어떤 점이 다른 건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았고 이해한 내용을 기록하려 한다.1. Assert? Precondition?1-1. Assert  Assert(역설)은 실행 중 발생하는 조건의 결과에 따른 진행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조건이 참이라면 코드는 계속 실행되지만 조건이 거짓이라면 프로그램은 종료되고 해당 줄 번호와 함께 미리 정의해둔 오류 메시지가 콘솔에 출력된다. 형태는..
[Swift] 연산자(대입, 산술, 복합 대입, 비교, 삼항, Nil 결합, 범위, 논리)
·
[Programming Language]/[Swift]
[머릿말]  새로운 언어를 공부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는 대부분 비슷한 것 같다. 구조, 연산자 등 공부를 하면 할수록 비슷한 부분을 많이 느낀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이제 새로운 언어를 공부해야 할 일이 생겨도 대학교 1학년 때처럼 두렵지는 않은 것 같다..ㅎ1.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Swift는 type-safe 언어이기 때문에 같은 자료형에 대해서만 연산이 가능하다. 즉, Int형과 Double형의 변수는 서로 연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변수로 저장되지 않은 수 자체에 대해서는 연산이 가능하다.print(3 + 0.5)let v1: Int = 3let v2: Double = 0.5print(v1 + v2) // binary oper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