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 리스트(list) 원소 비교 방법(>, <, ==, !=)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두 리스트가 같은지 비교하는 방법 두 리스트의 원소의 값과 순서가 모두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와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연산자를 사용하게 되면 두 리스트의 원소의 값과 순서가 모두 일치해야지 True가 반환되고 그렇지 않다면 모두 False가 반환된다. != 연산자의 반환값은 == 연산자와 반대이다. list1 = [1, 2, 3, 4, 5] list2 = [1, 2, 3, 4, 5] list3 = [5, 4, 3, 2, 1] print("1. == 연산자") print("list1 == list2 : ", list1 == list2) # 값, 순서 모두 일치하므로 True print("list2 == list3 : ", list2 == list3) # 순서 불일치 하므로 F..
[Python] :: 제곱 함수 pow(), math.pow(), **연산자 // 제곱근 함수 math.sqrt(), "** 0.5"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기존에는 Programmers에서 코딩 테스트를 풀면서 하나씩 배우는 내용들을 Today's learning 카테코리에 적었으나 나중에 어떤 언어의 내용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서 각 언어별 카테고리에 작성하기로 변경하였다. ** ◎ 파이썬에서 제곱 결과를 얻는 방법 1) pow() 파이썬에서 제곱 결과를 얻는 방법 중 첫 번째로 다룰 방법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pow() 함수이다. 함수의 연산 결과는 정수형으로 반환된다. pow(a, b) : a의 b제곱을 반환 print(pow(10, 2)) print(pow(10, 3)) 2) math.pow() 두 번째로 다룰 방법은 math 라이브러리의 pow() 함수이다. 사용 형태는 기본 pow() 함수와 동일하지만 반환 값이 정수형이 아닌 실..
[C언어] :: %d와 %i의 차이점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d와 %i의 차이점 %d와 %i는 둘다 정수형 데이터를 위해 사용하는 형식 지정자다. 똑같은 정수형 데이터를 위해 사용하는 형식 지정자라고 해도 분명 차이점이 존재할 것 같아서 찾아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printf() 함수 처럼 출력을 위해 사용할 때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다. 그러나 scanf() 함수 처럼 입력을 위해 사용할 때는 차이가 존재한다. %d는 10진수만 입력받을 수 있지만 %i는 10진수, 16진수, 8진수 모두 입력받을 수 있다. 예제 코드) #include int main() { int a; scanf("%d", &a); printf("%%d : %d \n", a); scanf("%i", &a); printf("%%i : %d \n", a); return 0; } 실..
[C언어] :: 연산자(대입, 산술, 복합 대입, 증감, 관계, 논리, 조건, 비트 논리, 비트 이동)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연산자(Operator) 연산자란 말 그대로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의미하고, 피연산자(Operand)는 연산에 참여하는 변수나 상수 값을 의미한다. 연산자의 종류는 아래 표와 같다. 분류 연산자 대입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 *, /, % 복합 대입 연산자 +=, -=, *=, /=, %= 증감 연산자 ++, -- 관계 연산자 >, =, >, b); printf("a=b : %d \n", a>=b); printf("a> 1 : %d \n", 20 >> 1);// 0001 0100(2) -> 0000 1010(2) printf("20 >> 2 : %d \n", 20 >> 2);// 0001 0100(2) -> 0000 0101(2) printf("20 >> 3 : %d \n", 20 >> 3..
[C언어] :: 상수(리터럴 상수, 심볼릭 상수, const, define)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상수 C언어에서 변수는 언제든 값이 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수는 최초로 값이 선언된 이후에는 절대 값이 변경될 수 없다. 상수는 크게 리터럴 상수와 심볼릭 상수로 나눌 수 있다. 상수는 왜 사용하는 것일까? 만약 코드 내에서 원주율 값을 3.14로 사용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이 값을 보다 구체화 하기 위해 3.141592로 수정하려 하면 코드 내에서 3.14가 사용된 부분 전체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런데 만약 3.14라는 값을 상수로 사용한다면 상수화 하는 부분 1곳만 수정을 하면 되므로 상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리터럴(Literal) 상수 : 글자 그대로 의미가 있어서 이름이 없는 상수 심볼릭(Symbolic) 상수 : 상수를 기호화하여 변수처럼 이름을 지어 쓰..
[C언어] :: 변수, 변수 선언 방법 및 주의사항, 변수의 사용, 변수의 시작 주소 및 & 연산자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변수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 저장 공간 즉, 메모리 공간을 말한다. 두 숫자의 합의 결과 값을 저장하거나 입력 값을 저장할 때 필요하다. 변수가 없는 코드는 없다고 보면 된다. 1) 변수 선언 방법 변수는 크게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로 분류된다. 말 그대로 정수형 변수는 정수를 저장히기 위한 변수이고 실수형 변수는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이다. 같은 타입의 변수는 쉼표(,)로 구분하여 여러 개를 동시에 선언할 수 있다. 정수형 변수 : char, short, int, long 실수형 변수 : float, double, long double #include int main() { char a;// char형 변수 short b, c;// short형 변수, 여러개 동시 선언 가능 int d..
[C언어] :: 기본 입출력(printf, 특수 문자, 서식 문자, scanf)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printf()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f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printf 함수는 stdio.h 헤더파일에 들어있다. 아래는 printf 함수의 예시이다. #include // printf 함수의 사용을 위해서 반드시 포함 int main() { printf("Hello C World! \n"); return 0; } printf문은 큰 따옴표 안에 출력할 내용을 적으면 된다. 위 예시를 보면 출력할 문장의 맨 끝에 \n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개행 문자로써 다음 출력될 부분은 아래 줄에 출력되도록 한다. #include int main() { printf("안녕하세요."); printf("반갑습니다."); return 0; } 줄 바꿈을 하지 않을 경우 위와 같이 문장이 한 줄..
[C언어] :: C언어 기본 구조(주석, 전처리기, 헤더파일, main 함수, 세미콜론, return)
·
[Programming Language]/[C언어]
◎ 주석 주석이란 일종의 메모 역할을 하는 것이다. 주석을 잘 사용하면 나중에 이 코드를 다시 볼 때나 다른 사람이 코드를 봐야할 때 어떤 내용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주석은 한 줄씩 처리할 수도 있고 여러 줄씩 처리할 수도 있다. 주석의 내용은 코드 자체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1) 한 줄 주석 처리 주석을 한 줄씩 처리하기 위해서는 '//'를 이용한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include int main() { // Hello C World가 출력됨 // 여러 개를 사용할 수도 있음 printf("Hello C World!"); return 0; } 2) 여러 줄 주석 처리 주석을 여러 줄씩 처리하기 위해서는 '/*'와 '*/'를 이용한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include int ..
[Android][Kotlin] 알림 권한(post_notifications) 허용 팝업 띄우기(target SDK 34)
·
[Projects]/[Android][Kotlin] 공유 캘린더(2023.09~))
이번 학기의 '모바일 프로그래밍' 강의에서 '공유 캘린더' 앱을 개발하게 되었다. 공유 캘린더란 말 그대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일정을 공유할 수 있는 캘린더이다. 그동안 시간이 없다는 핑계를 대며 개발 과정에 있던 내용들을 정리하지 못했지만 어느정도 시간적 여유가 생긴 지금이나마 관련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캘린더에 포함되는 여러 기능 중 알림 기능은 내가 아닌 다른 팀원이 담당한 부분이다. 따라서 나는 이 부분에 대해 깊이는 공부하지 않았다. 원래는 알림 기능에는 하나도 손을 대지 않으려 했으나 다른 팀원이 알림 권한을 허용받는 기능만 구현을 해달라 하였기에 구현을 마치고 그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구현을 위해 구글링을 진행할 때 구현 결과가 최상단에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으므로 구현한 결과를 먼..
[Kotlin] :: 반복문(for, in, until, while, do~ while, break, continue)
·
[Programming Language]/[Kotlin]
◎ 반복문 코틀린의 반복문에는 for과 while 2가지가 있다. for 문은 코드를 특정 횟수만큼 반복할 때 사용하고 while 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한 코드를 계속 실행할 때 사용한다. 1) for for 문은 코드를 특정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거나 리스트, 배열의 요소를 하나씩 사용해야할 때 사용한다. for 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for (반복할 범위) { 실행 코드 } 반복할 범위를 정하기 위해 코틀린의 범위 연산자인 in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in 연산자는 변수가 특정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때 사용하고 '..' 키워드와 함께 사용한다. '..' 키워드는 '~이상 ~이하'의 범위를 나타낸다. in 시작값..종료값 // in 3..5는 3, 4, 5를 뜻함 for 문에서 범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