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 set의 합집합(union, |), 교집합(intersection, &), 차집합(difference, -)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set 이란? 파이썬에서 set은 집합 자료형을 말한다. set은 대괄호([ ])를 사용하는 리스트와 달리 중괄호({ })를 사용한다. 이는 보통 리스트에서 2개 이상 중복되는 원소를 1개만 남기고 사용할 때 사용한다. set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존재한다. 중복된 원소를 가질 수 없다.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 예제 코드) 만약 [1, 2, 3, 3, 4]와 같은 리스트나 "Hello"와 같은 문자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두개를 집합으로 만들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반환된다. list1 = [1, 2, 3, 3, 4] str1 = "Hello" print("set(list1) : ", set(list1)) print("set(str1) : ", set(str1)) > 실행 결과) 위와 같이 중..
[23.07.26] :: 학습 노트 - Python[join(), eval(), set(), dict()]
·
Today's Learning
◎ Programmers 1) join() join() 함수는 리스트의 각 문자 요소를 하나의 문자열로 합쳐주는 함수이다.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구분자".join(리스트) 아무런 구분자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각 문자 사이에는 별다른 구분자가 존재하지 않고 구분자를 설정하면 해당 구분자로 각 문자가 구분되게 된다. 아래 예제를 통해 확인해보자. temp = ['a', 'b', 'c', 'd', 'e'] print("".join(temp)) print("---".join(temp)) join() 함수는 코테에서 활용성이 높은 편이니 잘 알아두고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2) eval() eval() 함수는 괄호 안의 내용을 곧이 곧대로 실행해주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사용하면 편리함이 상승되나 한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