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GO0AN%2Fbtr6DYu6evP%2FZnxM2k82yw2iO462wXKuy1%2Fimg.png)
[Python] :: 자료형 - 문자열(string), 이스케이프 문자, 문자열 연산자
·
[Programming Language]/[Python]
◎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서 만들 수 있다. 아래의 것들은 모두 문자열에 해당한다. print("Hello Python!") print('Hello Python!') 보면 알다시피 큰따옴표로 시작한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끝나야 하고 작은따옴표로 시작한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끝나야 한다. 그렇다면 굳이 왜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구분지어 사용하는지 궁금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print(""Hello!"Python") 코드 블럭에서도 보이듯 Hello!는 문자열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본 코드의 작성 의도는 "Hello!"Python을 출력하는 것인데 큰따옴표의 범위 내에 Hello!..